반응형 수술연기2 전공의 파업의 진짜 문제점: 병원 파업에 따른 환자고통 현실화 현재 정부와 의협과의 입장차로 전문의들이 사직서 제출 하고 있습니다. 수리가 되냐 안되냐의 문제가 아니라 전문의들이 진료를 중단하게 되면 빽빽하게 잡혀 있던 수술일정들이 무기한 밀리게 됩니다. 대학병원 가보신 분들은 잘 아실 거예요. 수술 스케줄 잡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그리고 그 일정 변경은 의사 스케줄에 거의 맞춰지기 때문에 환자들이 맞춰야 한다는 거. 환자들은 수술을 받기위해 모든 일상생활을 수술에 초점을 맞춥니다. 가령 이런 것이죠. 1. 전공의 파업 진짜 문제점 : 가족 중 한 명이 수술이 예정되어 있다. 첫 번째 사례입니다. 가족 중 누가 수술을 받습니다. 가족 중 한 명은 간병을 하기 위해 일상의 스케줄을 변경합니다. 여기서 우린 생업을 위한 사회생활을 하고 있죠. 회사에 통보하고 휴.. 2024. 2. 25. 의료대란 본격화: 전공의 파업 현기준 수술일정 연기 병원 의대 정원 증가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대한의사협회, 의대생들도 호응하고 있지만 일반 시민과 타지역 단체 등의 여론은 싸늘하기만 합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서울대병원 5대 병원 전공의 대표들과 논의한 끝에, 19일(오늘)까지 전공의 전원이 사직서를 내기로 했습니다. 내일(20일)부터 근무를 하지 않습니다. 대한의사협회는 "전공의들에게 면허 관련 불이익이 가해지면 의사에 대한 정면 도전으로 간주하고, 감당하기 어려운 행동에 돌입할 수 있다"라고 했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 "의료 공백이 벌어지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가게 됩니다. 이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볼모로 삼는 일은 있어선 안 되는 일입니다." 이번 담화에선 단호한 대응을 앞세우기보단 '4대 필수의료 패키지'.. 2024. 2. 1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