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이야기

25년 7월 부터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 얼마나 오를까?

by 정신나간 엘리스 2025. 1. 31.
반응형

오는 7월부터 국민연금 보험료가 최대 1만8000원 인상됩니다. 소득 수준에 따라 인상 폭이 다르며, 특히 월 소득 637만 원 이상인 가입자는 영향을 받을 전망입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볼까요?

 

🔹 국민연금 보험료, 얼마나 오를까?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월 소득 637만 원 이상인 가입자의 월 보험료가 기존 55만5300원에서 57만3300원으로 1만8000원 인상됩니다.

📌 기준소득월액 조정 내용
상한액: 617만 원 → 637만 원
하한액: 39만 원 → 40만 원
✅ 적용 기간: 2024년 7월 ~ 2025년 6월


🔹 직장인과 자영업자, 보험료 부담 차이는?

국민연금 보험료는 기준소득월액에 **보험료율(9%)**을 곱해 산정됩니다. 하지만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부담 방식이 다릅니다.

직장가입자: 회사와 50%씩 부담 → 월 최대 9000원 인상
지역가입자(자영업자 등): 본인이 전액 부담 → 월 최대 1만8000원 인상

즉, 직장인은 절반만 부담하지만, 자영업자는 보험료 인상분을 혼자 감당해야 합니다.


🔹 소득에 따라 보험료 인상 폭이 다를까?

맞아요! 소득 수준에 따라 보험료 인상 폭이 달라집니다.

월 소득 637만 원 이상 → 보험료 최대 1만8000원 인상
월 소득 40만 원 미만 → 보험료 최대 900원 인상
소득 617만 원 ~ 637만 원 사이 → 0원~1만8000원 미만으로 인상

즉, 기존 상한액(617만 원)과 새 상한액(637만 원) 사이에 있는 사람들은 월 소득에 따라 인상폭이 달라지는 구조입니다.


🔹 국민연금 수급액도 인상된다!

보험료만 오르는 게 아닙니다. 이달부터 국민연금 수급자가 받는 연금액도 2.3% 인상되었습니다.

📌 평균 노령연금 수급액 변동
2023년 9월: 65만4471원
2024년: 1만5052원 인상 → 월 66만9523원

이는 매년 소비자물가변동률을 반영해 연금액을 상향 조정하기 때문입니다.


🔹 결론: 보험료 오르지만, 연금도 오른다!

7월부터 국민연금 보험료가 소득 수준에 따라 최대 1만8000원까지 오릅니다.
직장인은 회사와 나눠 부담
자영업자는 전액 부담
연금 수급액도 2.3% 인상

 

이번 변동이 본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미리 확인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