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월부터 국민연금 보험료가 최대 1만8000원 인상됩니다. 소득 수준에 따라 인상 폭이 다르며, 특히 월 소득 637만 원 이상인 가입자는 영향을 받을 전망입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볼까요?
🔹 국민연금 보험료, 얼마나 오를까?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월 소득 637만 원 이상인 가입자의 월 보험료가 기존 55만5300원에서 57만3300원으로 1만8000원 인상됩니다.
📌 기준소득월액 조정 내용
✅ 상한액: 617만 원 → 637만 원
✅ 하한액: 39만 원 → 40만 원
✅ 적용 기간: 2024년 7월 ~ 2025년 6월
🔹 직장인과 자영업자, 보험료 부담 차이는?
국민연금 보험료는 기준소득월액에 **보험료율(9%)**을 곱해 산정됩니다. 하지만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부담 방식이 다릅니다.
✔ 직장가입자: 회사와 50%씩 부담 → 월 최대 9000원 인상
✔ 지역가입자(자영업자 등): 본인이 전액 부담 → 월 최대 1만8000원 인상
즉, 직장인은 절반만 부담하지만, 자영업자는 보험료 인상분을 혼자 감당해야 합니다.
🔹 소득에 따라 보험료 인상 폭이 다를까?
맞아요! 소득 수준에 따라 보험료 인상 폭이 달라집니다.
✅ 월 소득 637만 원 이상 → 보험료 최대 1만8000원 인상
✅ 월 소득 40만 원 미만 → 보험료 최대 900원 인상
✅ 소득 617만 원 ~ 637만 원 사이 → 0원~1만8000원 미만으로 인상
즉, 기존 상한액(617만 원)과 새 상한액(637만 원) 사이에 있는 사람들은 월 소득에 따라 인상폭이 달라지는 구조입니다.
🔹 국민연금 수급액도 인상된다!
보험료만 오르는 게 아닙니다. 이달부터 국민연금 수급자가 받는 연금액도 2.3% 인상되었습니다.
📌 평균 노령연금 수급액 변동
✅ 2023년 9월: 65만4471원
✅ 2024년: 1만5052원 인상 → 월 66만9523원
이는 매년 소비자물가변동률을 반영해 연금액을 상향 조정하기 때문입니다.
🔹 결론: 보험료 오르지만, 연금도 오른다!
7월부터 국민연금 보험료가 소득 수준에 따라 최대 1만8000원까지 오릅니다.
✔ 직장인은 회사와 나눠 부담
✔ 자영업자는 전액 부담
✔ 연금 수급액도 2.3% 인상
이번 변동이 본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미리 확인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
'금융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및 납부 가이드 총정리 (2) | 2025.01.31 |
---|---|
미국 20% 관세 부과 가능성 : 한국 기업들 생존 전략은? (2) | 2025.01.31 |
국민연금 개혁, 지금이 골든타임! 이재명 대표의 제안은? (2) | 2025.01.31 |
개인사업자 종소세 신고 납부 기한 연장 신청 방법, 신청 대상 : 미신고시 불이익 (56) | 2024.05.07 |
국민연금 수급자 종소세 신고 알아보자: 연금수급자 종합소득세 신고 와 연말정산 차이 (69) | 2024.05.02 |